‘계곡여행 1번지’, 괴산의 ‘구곡’ 문화
구곡은 중국의 ‘무이구곡(武夷九曲)’에서 이름을 따온 우리나라 선비 문화다. 전국의 이름난 명승지에는 물이 흐르는 곳마다 거의 ‘OO구곡’이라 명명한 곳이 흔하다.
충북 괴산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청정지역이다. 괴산의 ‘괴(槐)’는 느티나무, 회화나무라는 뜻이다. 괴산의 계곡에는 ‘역사’가 흐른다. 계곡의 규모는 작지만 송시열 등 역사와 관련된 유적지가 많아 사뭇 다른 느낌을 갖게 된다.
우암 송시열(1607~1689년)은 일찍이 괴산의 진가를 알아봤다. 괴산에서 가장 유명한 여행지 화양구곡 주변이 그가 고른 ‘명당’이다. 화양구곡의 시작점인 경천벽에서부터 마지막 파천까지 걸어가는 계곡 산책길은 경사가 완만해 ‘저질체력’인 여행자에게 딱 맞는 여행지다. 넓게 펼쳐진 반석 위로 맑은 물이 흐르고, 주변의 울창한 숲이 장관을 이룬다. 송시열의 글씨가 새겨진 경천벽을 지나 금사담, 첨성대, 능운대, 와룡암과 학소대를 거쳐 깨끗하고 반듯한 흰 바위 위로 맑은 계곡물이 스치듯 지나가는 파천에 다다른다. 계곡 산책로 길이는 3.1km며 중간에 식당들이 많이 있다.
이중환의 ‘택리지’를 보면 선유구곡을 칭송하는 내용이 나온다. 화양동 계곡과 함께 ‘금강산 남쪽에서는 으뜸가는 산수’라고 적혀 있다. 화양구곡이 남성적이라면 선유구곡은 여성적이다. 선유동 계곡 입구에서 출발, 구곡 중 1곡인 선유동문을 시작으로 2곡 경천벽, 3곡 학소암을 차례대로 만나고 연단로, 와룡폭, 난가대, 기국암, 구암을 지나 9곡인 은선암을 끝으로 계곡 상류인 후문을 빠져나가면 517번 지방도로를 만나게 된다. 모든 구간 차량으로 진입이 가능하며, 중간에는 휴게소가 있다. 연단로의 거대한 바위는 원시적인 아름다움이 압권이다. 내비게이션에 청천면 관평리를 찍고 찾아가면 된다.
쌍곡구곡은 괴산에서 연풍 방향으로 12km 지점의 칠성면 쌍곡마을로부터 제수리재에 이르기까지 10.5km의 구간에 호롱소, 소금강, 병암(떡바위), 문수암, 쌍벽, 용소, 쌍곡폭포, 선녀탕, 장암(마당바위) 등으로 이뤄져 있다. 보배산, 칠보산, 군자산, 비학산의 웅장한 산세에 둘러싸여 있고, 계곡을 흐르는 맑은 물이 기암절벽과 노송, 울창한 숲과 함께 조화를 이룬다. 소금강은 쌍곡구곡 중 가장 아름다운 절경을 자랑하는 곳으로 마치 금강산의 일부를 옮겨놓은 듯 하다 하여 소금강이라 불린다. 517번 지방도와 인접한 곳에 휴게소가 있고, 바로 아래 계곡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
갈론구곡은 골이 깊기로 소문난 괴산에서도 가장 깊은 곳이다. 주변 마을은 80년대까지는 자전거도 들어오기 어려웠던 청정지역이다. 갈론마을을 지나 2~3km남짓 계곡을 따라 거슬러 가면서 펼쳐지는 비경이 갈론구곡이다. 입구에 펼쳐진 개망초 군락지가 무척 아름답다. 신선이 내려왔다는 강선대를 비롯해 장암석실, 갈천정, 옥류벽, 금병, 구암, 고송유수재, 칠학동천, 선국암이 9곡을 형성한다. 내비게이션에 칠성면 사은리 67번지를 찍고 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