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월호

Quick menu

TOP

ENJOY STUDY

알쓸 용어사전

  • HOME ENJOY STUDY 알쓸 용어사전

건설입찰 관련 용어정리

주택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발주와 입찰은 필수적인 요소다. 토지입찰부터 시작해서 시공사 입찰, 인테리어 입찰 등 많은 부분에서 발주와 입찰 과정이 필요하다. 주택사업을 영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건설입찰과 관련된 용어를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에서 정리한다.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사원

입찰의 종류
  • 일괄(Turn-key)입찰(「국가계약법 시행령」 제79조제1항제5호)
    • 일괄입찰이란 정부가 제시하는 공사일괄입찰 기본계획 및 지침에 따라 입찰시그 공사의 설계서와 기타 시공에 필요한 도면 및 관계서류를 작성하여 입찰서와함께 제출하는 설계시공일괄입찰을 말함
  • 공동도급입찰
    • 1개의 회사가 단독으로 입찰을 하기에 공사규모가 큰 경우, 2개 이상의 회사가임시로 결합, 조직, 공동출자하여 공사를 완성 후 해산하는 방식

      • 공동도급입찰의 종류
        • 공동이행방식 : 같은 업종을 가진 2개 이상의 업체가 시공비율을 나눠공동으로 참여하는 방식
        • 분담이행방식 : 서로 다른 업종을 가진 2개 이상의 업체가 공동수급체를 구성해 공사에 참여하는 방식
        • 혼합방식 : 하나의 공고에 복수공종의 면허가 있어 주 공종의 면허는 공동이행방식으로 부 공종은 분담이행방식으로 면허보완을 위하여 분담하여 입찰에 참여 하는 방식
        • 지역의무 공동도급 방식 : 타지역 업체가 입찰에 참여할 경우 당해 공사현장의 특별시, 광역시, 도에 본사를 둔 지역업체가 공동수급체의 구성원으로 반드시 참가하고,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이 충족된 경우에 입찰 및 낙찰 자격을 부여하는 방식
  • 부대입찰
    • 공사입찰 산출내역서에 입찰금액을 구성하는 공사 중 하도급할 부분, 하도급금액,하수급인 등 하도급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여 제출하는 제도
    • 입찰자는 입찰 전에 미리 실제공사를 시공할 하수급인으로부터 하도급에 관한 사항에 대해 견적서를 받아 하도급금액 등을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입찰서를작성하여 입찰하게 됨. 낙찰된 후에는 입찰시 제출한 하도급 내용대로 하도급계약을 체결
입찰관련용어
  • 추정가격
    • 물품, 공사, 용역 등의 조달계약을 체결함에 있어서 입찰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등으로 삼기 위해 예정가격이 결정되기 전에 산정된 가격
      • 추정가격 = 공사예정금액 - (부가세 + 관급자재비)
      • 추정금액 = 추정가격 + 부가세 + 관급자재비
  • 예정가격(「국가계약법 시행령」 제2조제2호)
    • 입찰 또는 계약 체결전에 낙찰자 및 계약금액의 결정기준으로 삼기 위하여 미리작성·비치하여 두는 가액으로 「국가계약법」 제8조의 규정에 의하여 작성된 가격
  • 사정률
    • 투찰금액이나 예정금액보다 높거나 낮음에 대한 증감률로 예정가격을 기초금액으로 나눈 비율
    • 기초금액을 기준으로 복수예가를 산정하기 위한 백분율
  • 투찰률
    • 예정가격대비 낙찰이 가능한 최저가격을 결정하는 비율
    • 최저입찰가격에 제한을 두는 용도이며, 최소공사비를 보장해 최저가 낙찰제를 시행할 때 부실공사 방지를 위한 용도로 활용
  • 입찰(이행)보증금
    • 건설공사에서 공사실행을 담보하기 위해 적립하는 보증금. 계약하고도 공사를하지 않으면 다시 경쟁입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손실부담금을 미리 확보해두기 위한 목적
    • 입찰 후 계약체결을 보장받기 위한 물적담보로서 보통 입찰금액의 100분의 5 이상을 납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