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호

Quick menu

TOP

  • HOME ENJOY STUDY 주택사업전략

시군단위 주택보급률
오피스텔 공급상황

주택보급률만 가지고 지역의 주택수급상황을 진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기존 공급된 오피스텔 상황까지 고려해서 주 수요층을 잘 선별해야 한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

주택보급률 낮을수록 주거용 오피스텔 많아 주택사업 계획시 기공급된 오피스텔물량 파악해야

주택보급률은 주택수급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대표적 인 지표이다. 정부는 주택공급정책을 수립할 때, 주택보급률이 100%가 안 되는 지역을 주택 우선 공급지역으로 고려한다. 주택사업자 입장에서도 주택공급 필요지역으로 생각하고 사업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주택보급률만 가지고 지역의 주택수급상황을 진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주택보급률 통계가 시도단위로만 제공되고, 주거용 오피스텔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주택사업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주택사업자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적어도 시군구 단위의 주택보급 상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고, 당해지역에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이 얼마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는 그렇지 않다.
<그림1>과 <그림2>는 전국 시군(85개시, 76개군) 단위로 주택보급률을 추정하고, 주거용 오피스텔을 시각화한 자료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택보급률이 낮은 지역에는 주거용 오피스텔 공급이 많다. 주택보급률이 낮더라도 이미 주거용 오피스텔이 많이 공급된 지역이라면, 상품구성을 할 때 기 공급된 오피스텔의 상황을 고려하여 주 수요층을 잘 선별할 필요가 있다.
<그림1>에서 제공한 지역별 주택보급률은 정부가 주택보급률 산정시 적용하고 있는 다가구주택을 구분거처 단위로 환산하여 적용한 추정치이다. 추정치이기 때문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전체적인 상황을 가늠하여 사업계획 등을 마련하는 데는 부족하지 않다고 사료된다.
2023년 정부 공식통계 기준으로 주택보급률 100%가 안되는 지역은 서울(93.6%), 인천(99.1%), 대전(96.4%), 경기(99.3%)이다. 즉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주택보급률이 100%가 넘어섰고, 충남, 충북, 전남, 경북지역은 110%를 상회한다. 전국적으로 주거용 오피스텔은 84만호 정도가 있다. 주택보급률이 가장 낮은 서울에만 26만호의 주거용 오피스텔이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정부 공식 통계보다 올라갈 수 있다.
시도단위 주택보급률을 세부 지역으로 구분해서 보면, 시도단위에서도 편차가 있다. <그림3>과 <그림4>는 수도권 세부지역별 주택보급률과 오피스텔 공급현황이다. 수도권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주택보급률이 높다. 서울과 그 인근지역의 주택보급률은 낮다. 오피스텔은 오히려 서울과 그 인근지역에 많이 공급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사업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의 주택보급률에는 빈집을 포함하고 오피스텔과 외국인가구를 제외하고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그림1> 주택보급률 현황
<그림2> 주거용 오피스텔 현황
<그림3> 수도권 주택보급률 현황
<그림4> 수도권 주거용 오피스텔 현황
<표1> 지역별 주택보급률과 주거용 오피스텔 현황
구분 주택보급률 주거용 오피스텔
전국 102.5 837,655
수도권 97.2 611,328
서울 93.6 260,659
경기 99.3 254,571
인천 99.1 96,098
광역시등 103.1 142,013
부산 102.9 89,714
대구 103.3 16,407
광주 105.5 15,350
대전 96.4 8,635
울산 108.6 9,959
세종 106.0 1,948
도지역 110.6 84,314
강원 109.2 4,685
충남 111.7 17,474
충북 111.2 6,192
전남 112.6 9,104
전북 109.2 4,661
경남 109.1 24,406
경북 113.1 7,221
제주 105.3 10,571
자료: 국토부 주택보급률(2023년), 통계청 주택총조사(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