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호

Quick menu

TOP

  • HOME ENJOY STUDY 알쓸용어사전

올해 6월 30일부터 1,000㎡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은 ZEB(제로에너지 건축물) 5등급 수준 설계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주택업계는 해당 기술을 꾸준히 도입하며 대응중이다. 눈앞에 다가온 제로에너지 건축물 관련 용어들을 알아보자.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주임
  • 제로에너지 건축물(ZEB)

    •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해 에너지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 제2조제4호)
    • ZEB(Zero Energy Building)는 건물이 생산하는 에너지와 소비하는 에너지를 합쳐에너지 사용량이 제로가 되는 건축물을 지향하고 있음.
    • 기본적으로 단열이나 기밀성능을 강화해 에너지소비량을 최소화하고 냉난방에너지효율을 늘리며 태양광, 지열 등을 이용한 기술을 적용함.
  • 에너지 자립률

    •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소비량 대비 1차 에너지 생산량의 비율
      에너지 자립률(%) =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생산량 단위면적당 1차 에너지 소비량
      x 100
  • 제로에너지 인증 등급

    • 에너지 자립률에 따라 1~5등급까지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부여
    인증 등급 용적률, 건축물 높이 등
    건축기준 최대 완화 비율
    등급별 인증
    수수료 감면 비율
    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 상향
    ZEB 1 (에너지 자립률 100% 이상) 15% 100% 20% 상향
    ZEB 2 (에너지 자립률 80% 이상~100% 미만) 14% 100% 20% 상향
    ZEB 3 (에너지 자립률 60% 이상~80% 미만) 13% 100% 20% 상향
    ZEB 4 (에너지 자립률 40% 이상~60% 미만) 12% 50% 20% 상향
    ZEB 5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40% 미만) 11% 30% 20% 상향
  • 제로에너지 의무화 로드맵

    • 2020년부터 1,000㎡ 이상 공공건축물을 시작으로 2050년까지 제로에너지 건축이 단계적으로 의무화 됨.
    • 2020년
      공공 1,000㎡ 이상(5등급)
    • 2023년
      공공 500㎡ 이상(5등급), 공공 공동주택 30세대 이상(5등급)
    • 2024년
      민간 공동주택 30세대 이상(5등급 수준) *2025년 유예
    • 2025년
      공공 500㎡이상(일부 용도 · 규모 대상, 4등급 수준 예상), 민간 1,000㎡ 이상(5등급 수준)
    • 2030년
      공공 500㎡ 이상(일부 용도 · 규모 대상, 3등급 수준 예상), 민간 500㎡ 이상(5등급 수준)
    • 2050년
      전(全) 건물(1등급 수준)
  •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전기를공급했음을 증명하는 인증서
    • 정부는 업계 부담 감소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에대한 대체 인정 방안으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구매를 통한 인증 방법을 검토 중
  • 패시브에너지

    • 별도의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건물의 구조를 통해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 ex. 고성능 창호, 고기밀 시공, 벽면녹화, 옥상녹화, 외부차양, 외단열, 열교(더운 열기 손실)최소화, 자연채광, 자연환기 등
  • 액티브에너지

    • 건축물의 기계적 장치와 전기적 시스템을 통해 건축물에활용하여 에너지를 자체 생산해 공급하고 소비하는 기술 ex. 고효율 LED조명,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벽일체형 태양광시스템(BIPV), 고효율 보일러, 고효율 기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