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 강 간 식
땅콩
심심풀이 땅콩이라는 말도 있듯이 땅콩은 우리에게 친숙한 간식이다.
하지만 땅콩의 효능을 알게 된다면 더 이상 심심풀이라고 부르지는 못할 것 같다.
일부로 챙겨먹어야 할 정도로 건강에 도움되는 간식 땅콩의 올바른 섭취법에 대해 알아보자.

-
심혈관 질환 예방
심혈관 질환 예방
-
땅콩에는 심장을 보호한다고 알려진 레스베라트롤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있다. 뿐만 아니라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해 나쁜 콜레스테롤을 청소하고 중성지방을 감소시킨다. 미국 심장학회에서는 땅콩을 주 2회 이상 먹게 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최대 19%까지 낮출 수 있다고 발표했다.
-
기침과 가래 치료
기침과 가래 치료
-
한의학적으로 땅콩은 혈액을 돋구고 폐와 기관지를 윤택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마른기침은 기본적으로 폐와 기관지가 건조해서 생기는 증상이라 약 을 먹어도 잘 낫지 않고 점막을 촉촉하게 해야 멎는데 이런 작용을 하는 것이 땅콩이다. 평소 입으로 숨을 많이 쉬어서 목이 건조한 사람도 땅콩이 좋다
-
노화 예방
노화 예방
-
피부 세포막을 보호하는데 필수적인 영양소가 비타민E인데 땅콩 100g에는 하루 비타민E 섭취량의 105%가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피부의 주름과 노화 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엽산이 풍부해서 뇌신경의 노화를 막고 우울증을 다스리는 효과까지 있다.
-
풍부한 아미노산
풍부한 아미노산
-
땅콩은 100g당 단백질 함량이 26g으로 소고기 안심과 같다. 단백질 함량도 높고 단백질이 우리 몸에 들어와서 얼마나 잘 활용될 수 있는지 나타내는 PDCAAS 점수도 0.69점으로 병아리콩이나 렌틸콩보다 높다. 특히 성장호 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아르기닌 아미노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성장기나 중년 이후 근육과 관절이 약해지는 시기에 도움되는 식품이다.
Tip. 땅콩 섭취시 주의점
-
- 1
- 땅콩은 산패가 잘 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신선도를 확인하고 먹어야 한다.
-
- 2
-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B1은 강력한 발암물질로 간 독성을 일으켜 간암을 유발할 수 있다. 가열한다고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가 생긴 땅콩이 하나라도 보인다면 먹지 말고 다 버려야 한다.
-
- 3
- 땅콩을 태우게 되면 벤조피렌이 생성될 수 있다. 그래서 볶은 땅콩보다는 삶은 땅콩이 더 안전하고 효능도 좋다.
-
- 4
- 땅콩은 알레르기가 많이 나타나는 식품으로 땅콩 알레르기가 있다면 먹지 말아야 한다.
-
- 5
- 땅콩의 속껍질에는 폴리페놀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집중되어 있지만 갑상선종을 유발하는 아라키도시스 성분도 존재한다. 갑상선 질환이 있다면 속껍질은 벗겨내고 먹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