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호

Quick menu

TOP

  • HOME ENJOY STUDY 알쓸용어사전

지적 · 공간정보 전문용어
우리말 순화

일제강점기에 지적제도가 창설된 후 지적측량 용어는 일본식 한자어를 근간으로 사용돼 왔다.
정부는 우리나라 지적 · 공간정보 용어의 통용성을 높이기 위해 일본식 한자표현을 우리말 순화어로 다듬고 있다.
건설업 국제화에 필요한 지적 · 공간정보 용어의 우리말 표기에 대해 알아보자.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주임
참고
국토교통부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알아두면 쓸모있는 쉬운 우리말 국토용어

공유지연명부 共有地連名簿 공동 소유자 명부

하나의 필지를 두 명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경우 그 소유자 각각의 지분, 이름, 주소 등이 기록된 장부

교차 較差 관측차

동일 대상의 각, 거리 등을 2회 관측했을 때 두 관측값의 차이

국지측량 局地測量 소지역 측량, 평면 측량

지구의 표면을 평면으로 가정하고 실시하는 소지역에서의 측량

기지경계선 旣知境界線 확인 경계선

세부측량성과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기지점을 필지별로 직선으로 연결한 선

기차 氣差 빛 굴절 오차

측량을 실시할 때 빛이 밀도가 다른 공기를 통과하면서 일종의 곡선을 그리는데 이러한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

도곽선 圖廓線 도면 구획선

지도를 둘러싸고 있는 직사각형의 구획선

도해지적 圖解地籍 도면 지적

수치지적 數値地籍 좌표 지적

지적은 경계를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그림으로 표시하는도해지적과 좌표로 표현하는 수치지적으로 나눌 수 있음

도해지적은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시간이지나 도면이 훼손되면 오차가 발생

수치지적은 정확도가 높지만 고가의 정밀 장비와 전문기술이필요

배각법 倍角法 반복 각 측정법

한 개의 각을 여러번 측정하여 횟수로 나누는 관측법으로 정밀도를 높일 수 있음

사거리 斜距離 경사 거리, 비탈 거리

두 점이 다른 높이에 있을 때 경사면을 따라 잰 거리

보점 補点 보조점

세부측량을 하기에 기준점이 부족할 때 보조하기 위해 설치하는 점

미지점 未知點 모르는 점

위치 좌표가 결정되어 있지 않은 점

기지점 旣知點 아는 점

어떤 공간 상의 특정한 위치를 표현하는 정보가 존재하는 위치

소구점 所求㸃 구하는 점

기지점을 기준으로 위치를 구하고자 하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