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호

Quick menu

TOP

함께해요 사회공헌

주택건설업계 사회공헌활동, 어떻게 할까?

  • HOME OUR STORY 함께해요 사회공헌

주택건설업계 사회공헌활동,
어떻게 할까?

역대급 지진으로 고통받는 튀르키예에 우리 협회도 전국 시 · 도회와 함께 1억 6,100만원을 모금해 전달했다. 이렇듯 기업들은 재해 및 경제 위기가 닥칠 때마다 국내외 사회적 약자를 돕는데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최근에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이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으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사회적 책임경영’의 일환이라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사회공헌활동은 어려운 시기에 더욱 크게 요구된다. 지금 우리는 고물가, 고금리에 따른 경기 침체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우리 업계도 금융 제약, 원자재값 상승, 급격한 수요 하락 등으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주택건설업체들이 나서 국민적 고통을 함께하기 위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한다면, 국민들에게 사회를 지탱하는 주요한 산업으로 각인 될 것이다.

정용식
정책고문

사회공헌활동 영역

사회공헌사업 관련법에 근거하여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이 가능’한 영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제4조제2항
  • ➊ 국제적으로 행하여지는 구제사업
  • ➋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난의 구휼사업(救恤事業)
  • ➌ 불우이웃돕기 등 자선사업
  • ➍ 영리 또는 정치ㆍ종교 활동이 아닌 사업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 ㉮ 교육, 문화, 예술, 과학 등의 진흥을 위한 사업
    • ㉯ 소비자 보호 등 건전한 경제활동에 관한 사업
    • ㉰ 환경보전에 관한 사업
    • ㉱ 사회적 약자의 권익 신장에 관한 사업
    • ㉲ 보건ㆍ복지 증진을 위한 사업
    • ㉳ 남북통일, 평화구축 등 국제교류ㆍ협력에 관한 사업
    • ㉴ 시민참여, 자원봉사 등 건전한 시민사회 구축에 관한 사업

재난구호활동
▶ 코로나, 지진, 산불, 태풍, 홍수 등 재난에 대한 국내외 구제, 구휼사업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및 도움
▶ 영유아기, 아동, 청소년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부의 양극화로 인한 소외된 이웃,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국가적 세계적 이슈에 대한 참여
▶ 기후위기 대응, 환경보호 활동
▶ 남북통일, 평화구축 등에 관한 활동

건전한 시민사회 및 소비자 보호 등에 관한 사업
▶ 시민참여, 건전한 경제 및 보건복지 증진활동
▶ 교육, 문화, 예술, 과학 등의 진흥을 위한 사업

사회공헌활동 유형

사회공헌활동 진행 방식은 기업의 특성이나 상황적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기금(성금) 전달
  • • 기업이 희망하는 사업을 선택해 기부금 단체를 통한 기부 또는 직접 당사자에게 전달
  •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을 통해 희망하는 사업을 선정 지정기탁할 수도 있음
물품 후원
  • • 기업의 판매, 재고상품, 개인 후원 물품 등을 아동청소년, 미혼모, 독거노인, 위기가정, 기타 취약계층에 지원
  • • 직접 당사자에게 전달하거나 ‘아름다운가게’, ‘지파운데이션’ 같은 기부단체를 통해 전달
재능기부
  • • 숙련된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해 사회 취약계층을 돕는 프로보노(Probono)형 공헌활동
직접적인 봉사활동 참여
  • • 자선형 봉사를 통한 취약계층에 필요한 직접적 도움 제공, 사내 봉사활동 동아리 운영 등
캠페인
  • • ESG 경영에 발맞춰 기업의 가치 실현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캠페인
  • • 기부 캠페인, 친환경, 탄소중립 캠페인, 기부런 캠페인 등
공익연계마케팅(CRM) : 고객참여형 캠페인
  • • 고객이 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면 일정 수익금을 자선 활동이나 공익에 기부하는 마케팅
  • • 기업의 사회책임 활동 중 하나로 기업과 소비자, 비영리단체에 ‘윈 - 윈 - 윈’하는 전략
대한주택건설협회의
사회공헌사업은?

요즘의 사회공헌활동은 업종과 사업유형에 따라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찾아가는 맞춤형 추세를 보인다. 우리 협회 역시 주택건설산업의 특성에 맞는 사회공헌사업 모델을 찾아 장기간 활발하게 실천해 왔으며 앞으로도 관련 분야의 사회공헌사업 모델을 새롭게 개척하고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 물품 후원

    ➊ 국가유공자 주거여건 개선사업
    중앙회 + 시도회 / 29년간 노후주택 2,137동 무료보수 지원

    ➋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사업
    서울, 부산, 광주 · 전남, 경기도 5년 이상 지속사업

  • 취약계층 지원사업

    ➌ 소방취약계층 소화기 지원사업
    중앙회 + 시도회 / 5년 이상 지속사업

    ➍ 사회복지시설 물품후원 및 봉사활동
    중앙회 + 시도회 / 5년 이상 지속사업

    ➎ 사회복지시설 물품후원 및 봉사활동
    사랑의 연탄나눔 봉사활동중앙회 + 시도회 / 7년 이상 지속사업

  • 인재양성 장학사업

    ➏ 우당교육문화재단 장학기금 기탁
    중앙회 16년간 지속사업

    ➐ 지역 장학재단 장학기금 기탁
    서울시회 지속사업

  • 성금 전달

    ➑ 코로나, 산불, 지진 등 국제적 · 국가적 재난 지원사업
    중앙회 + 시도회(필요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