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자재 관련 용어정리
시멘트, 철근, 골재 등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건설업계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설자재는 주택의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어야 품질 좋은 주택이 완성된다.
건설자재 수급이 어려울수록 다양한 자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두고 대비해야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건설자재와 관련된 용어를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에서 정리한다.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사원
건설자재란?
건설에 쓰는 재료로 나무, 강철, 벽돌, 철근, 시멘트, 유리 따위를 이른다.
시멘트의 종류와 특성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 영국 리즈시에서 일하던 벽돌공에 의해 1824년 기존 시멘트 제조법을 계량해 만든 시멘트
- 석회석을 석회로에서 구워 생석회를 만들고 생석회 가루를 다시 점토와 섞어 800도에서 구워 만들어진 클링커를 미세하게 분쇄
- 포틀랜드 섬의 천연석과 비슷해 포틀랜드 시멘트라고 불림
- 콘크리트에 배합해서 일반 건축 공사에서 폭 넓게 사용되는 시멘트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 초기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로 공사기간 단축이나 추운 지역에서의 한중공사, 수중공사에 사용
-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 보통 시멘트보다 수화속도가 늦고 발열이 적어 경화가 늦은 시멘트로 균열발생이 낮고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강도가 높음
-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
- 수화열이 보통 시멘트보다 낮고 보통 시멘트를 묽게 반죽한 시멘트로 준공 후 균열 방지를 위해 사용
- 내황산염 포틀랜드 시멘트
- 황산염의 침식작용에 저항성이 크도록 만든 시멘트로 내구성이 뛰어남
미장재료의 종류 및 특징
- 시멘트 모르타르
- 시멘트에 물과 잔골재인 모래를 반죽한 것으로 몰탈이라 부르기도 함
- 벽돌 접착용, 줄눈용, 미장용, 바닥 수평용, 방수용, 보수용 등 주로 접착용과 미장용으로 사용
- 석고 플라스터
- 석고, 모래, 물, 섬유질 등을 섞어 반죽한 재료로 벽, 천장 미장에 사용
- 소석고, 경석고를 주성분으로 소석고는 경화시간이 짧기 때문에 혼화재를 섞어 사용
- 경석고는 소석고를 고온으로 가열해 사용하는데 이는 경화속도는 느리지만 경화 후에는 단단하게 굳어 욕실이나 주방에 사용
- 회반죽 바름
- 조기강도가 크지만 건조수축 또한 크기 때문에 균열 방지를 위해 여물, 모래, 해초풀 등을 섞어 반죽해 사용
- 초벌 후 반건조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정벌을 함. 작업시에는 통풍을 차단해 건조되지 않도록 하고 작업이 다 끝나면 통풍을 통해 서서히 건조
-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 마그네시아를 다량 함유한 백운석을 구워 분쇄해서 만든 것으로 모래, 여물을 섞어 반죽
- 점성이 높고 작업성이 좋아 풀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
- 변색, 냄새, 곰팡이가 없고 값도 비교적 저렴
- 플라스터
- 석고 또는 석회, 모래, 물 등으로 구성되어 마르면서 경화되는 건축재로벽, 천장을 도장할 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