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분기 주택경기 전망
주택시장 연착륙 기대
올해 2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조사 · 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 개요
- 목적
-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조사대상
-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조사기간
- 2024. 9. 11 ~ 9. 30
- 조사방법
-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72개업체 답변(답변율:24%)
- 분석방법
-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
2024년 4분기 주택경기동향
설문에 응한 72개 주택건설업체 중 40개업체(56%)가 2024년도 4분기의 주택경기를 2024년도 3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19개업체(26%)는 2024년도 3분기보다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3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58%), 회복(22%)〕보다 조금 호전된 수준이다.
이는 최근들어 본격적인 글로벌 금리인하 추세로 인한 국내 지속적인 금리인하 기대감, 정부 주택규제 완화정책 시행 등에 따른 주택시장 호전 기대감 등 부동산시장이 연착륙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
2024년 4분기 주택경기 회복이유
세부항목별 주택경기 전망 <2024년 4분기 전망(2024년 3분기 대비)>

2024년 4분기 자재수급동향 <2024년 4분기 전망(2024년 3분기 대비)>

인기 예상 상품

-
향후 주택경기 호전 예상시기
-
4분기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
-
4분기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
분양가상한제의 문제점이나 부작용
8.8 국민주거안정 공급대책 중 주택공급
정상화에 효과가 클 내용
정상화에 효과가 클 내용

도시관리정책이 개선될 경우 도심
주택공급사업에 참여할 의향
주택공급사업에 참여할 의향

-
바람직한 실버주택 공급활성화방안
-
정부의 주택정책 개선 필요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