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호

Quick menu

TOP

  • HOME MONTHLY INFO 주택경기전망조사(1분기)

2024년 1분기 주택경기 전망

주택시장 연착륙 난항 전망

올해 1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조사 · 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 개요

  • 목적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조사 기간

    2023. 12. 13 ~ 12. 29

  • 조사 대상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조사 방법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131개업체 답변(답변율:44%)

  • 분석 방법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4년 1분기 주택경기동향


설문에 응한 131개 주택건설업체 중 75개업체(57%)가 2024년도 1분기의 주택경기를 2023년도 4분기보다 침체될 것으로 응답했으며, 50개업체(38%)는 2023년도 4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4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50%), 침체(37%)〕보다 다소 악화된 수준이다. 이는 미국 금리상승 기조 조기완화 지연 우려, 단기간 주택시장 호전 불투명성, 장기적인 실물경제 침체 등으로 인해 단기간 주택시장 연착륙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24년 1분기 주택경기 침체이유

  • 23%

    금리상승 기조 유지
    36업체

  • 23%

    신규주택 분양시장 침체
    지속 36업체

  • 23%

    주택시장 불확실성 증대
    36업체

  • 19%

    실물경기회복 불투명성
    30업체

  • 11%

    기존주택시장 회복 지연
    18업체

  • 1%

    기타
    1업체

세부항목별 주택경기 전망<2024년 1분기 전망(2023년 4분기 대비)>
2024년 1분기 자재수급동향<2024년 1분기 전망(2023년 4분기 대비)>

  • 2024년도 연간 집값흐름 전망

  • 2024년도 주택건설경기에 영향을 미칠 가장 큰 변수

  • 2024년도 업체별 주택공급 계획물량

  • 2024년도 부동산시장 견인예상 상품

  • 2024년도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부동산 대책

  • ‘제22대 국회의원선거’가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인지

  • 분양경쟁 타개를 위한 주택업체별 2024년도 분양전략

  • 2024년도 소비자가 아파트 선택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항

PF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
(주관식 설문)
  • 용적률 규제완화 등 PF사업성 개선 및 사업성
    낮은 사업장 정리(15업체)

    이자납부 유예, 만기연장, 유동성 강화 등
    자금조달 지원 확대(13업체)

    우량사업장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9업체)

  • 분양시장 규제 철폐 및 경제회복을 통한
    주택시장 활성화 필요(5업체)

    기타(신용보강 강화 등)(4업체)

정부 주택정책
개선필요사항 (주관식 설문)
  • 금융 · 세제 규제완화 등 수요자 측면 지원을
    통한 주택거래 활성화(14업체)

    표준건축비 현실화, 기부채납 개선 등 공급자
    측면 지원 확대(10업체)

    3 일관성 있는 중장기 주택정책 필요(7업체)

  • 분양가상한제 개선 필요(3업체)

    지역별로 차별화된 주택정책 필요(2업체)

    기타(도심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상업지역
    주거비율 및 용도용적제 개선 필요 등)(3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