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호

Quick menu

TOP

  • HOME ENJOY STUDY 알쓸용어사전

아파트 바닥구조
용어정리

우리나라에 아파트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한건 1930년 서울 회현동에 일본 기업인을 위한 아파트였다.
그로부터 약 30년 후인 1958년 서울 종암동에 첫 한국 아파트가 지어지며 한국주택업계는 발전을 거듭해왔다.
아파트 바닥구조 또한 기술이 발전하며 수많은 공법이 탄생했고 그 구조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지녔다.
지난 60여년 간 발전해온 한국 아파트 바닥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주임

  • 벽식구조

    • 슬래브(콘크리트 천장) + 벽체

    • 기둥, 보 등 골조를 넣지 않고 벽과 마루로 구성한 건물구조

    •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인 아파트 구조

  • 기둥식구조(라멘 구조)

    • 슬래브(콘크리트 천장) + 보 + 기둥

    • 천장에 수평으로 설치한 보(수평기둥)와 기둥이 천장을 받치는 방식

    • 2010년대 중후반 이후로 아파트에 많이 적용

  • 무량판구조

    • 슬래브(콘크리트 천장) + 기둥

    •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 기둥인 보 없이 위층 수평구조인 슬래브를 기둥이 지탱하도록 만들어진 건물구조

    • 본래 교량건설에 사용되던 방식으로 기둥식구조와 벽식구조의 장점을 두루 지님

    • 단순 무량판구조, 드롭패널구조, 칼럼헤드구조 등기둥이 슬래브를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구조로 나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