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두언
건자재 가격 급등
정부의 대응방안 마련 시급
-
정원주
대한주택건설협회 회장
-
시멘트를 포함한 건자재 가격 급등이 장기화되면서 주택건설시장에 커다란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 2년간에 이어 올해까지 자재값 상승이 지속된다면 자금여력이 취약한 중소주택건설사를 중심으로 원가부담 상승에 따른 경영난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여러 건설자재들 중 특히 시멘트 가격 급등은 더 이상 시장에만 맡길 수준을 넘어서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원자재 가격 인상과 인건비, 전기료 인상 등을 명분으로 많은 시멘트 제조사들이 다음 달부터 시멘트 가격을 10% 넘게 인상한다고 알려지고 있어 주택건설업계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시멘트와 레미콘 등은 핵심적인 건자재로서 지속적이고 과도한 가격 인상은 건설비용 상승으로 직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건설산업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시멘트 가격이 현재보다 10% 오를 경우 100억원 규모의 주택건설공사에 있어 6,800만원의 추가 공사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업계는 전기료 등 각종 비용인상을 이유로 가격인상의 불가피성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올 상반기 시멘트업계의 영업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발표되었다. 주택업계 입장에서는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협회 시·도회에서도 최근 일부 대형 시멘트회사의 일방적이고 과도한가격인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신규주택 분양시장의 침체가 지속되면서 미분양주택 증가 등에 따라 고사위기에 직면한 중소주택건설업계는 건자재 가격 인상분을 분양가격에 반영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가뜩이나 금리상승 기조에 따라 이자비용 부담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자재값 부담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국민생활과 밀접한 주택산업은 국가기간산업이다. 지나친 건자재 가격 상승은 분양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정부가 건자재업계와 지속적인 간담회 등을 통해 신속하고 현명한 대책을 마련해 주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