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분기 주택경기 전망
주택시장 경착륙 현실화 우려
올해 4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조사 · 분석전략기획본부
조사 개요
- 목적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조사 기간2022. 9. 13~9. 30
- 조사 대상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조사 방법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업체 중 97개업체 답변(답변율 : 32%) - 분석 방법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2년 4분기 주택경기동향
설문에 응한 97개 주택건설업체 중 76개업체(78%)는 3분기보다 침체될 것으로 응답했으며, 21개업체(22%)는 4분기의 주택경기를 3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없었다. 이는 3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36%), 침체(56%)〕보다 매우 악화된 수준이다. 최근들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지속적인 금리인상 불가피 등 부동산시장 경착륙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4분기 주택경기 침체이유
-
45%
지속적인 금리인상
69업체 -
20%
주택시장 불확실성 증대
30업체 -
16%
실물경기회복 불투명성
25업체 -
14%
신규주택 분양시장 침체
예상 21업체 -
3%
기존주택시장 회복 지연5업체
-
2%
기타
3업체
세부항목별 주택경기 전망<2022년 4분기 전망(2022년 2분기 대비)>
4분기 자재수급동향<2022년 4분기 전망(2022년 3분기 대비)>
-
4분기 부동산 인기상품
-
주택경기 호전 예상 시기
-
4분기 부동산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요인
-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
8.16 부동산공급대책에 대한 의견
-
8.16 부동산공급대책 중 효과가 클 내용
-
향후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참여 의향
바람직한 분양가상한제 개선방안 (주관식 설문)
-
HUG 독점구조가 아닌 경쟁체제 필요(7업체)
보증시장 다변화로 시행사 선택폭 확대(5업체)
보증기준 및 절차 간소화, 추가보증 확대(4업체)
-
책임있는 보증기관 설립으로 부실방지(2업체)
조속한 조합설립 필요(2업체)
기타(2업체)
정부 주택정책 개선필요사항 (주관식 설문)
-
규제완화와 정부의 시장개입 자제(11업체)
브릿지대출, PF 활성화 등 금융지원 확대(4업체)
금리인하 필요(3업체)
-
과감하고 세부적인 주택정책 필요(2업체)
과감한 그린벨트 해제(2업체)
기타(과도한 기부채납 지양 등)(4업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