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월호

Quick menu

TOP

본문영역

container

2022년 2분기 주택경기 전망

주택시장 점진적 호전 기대

올해 2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 조사·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개요
  • 목적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조사기간 2022. 3. 14~3. 30
  • 조사 대상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조사 방법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136개업체 답변(답변율:35%)
  • 분석 방법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2년 2/4분기 주택경기동향
46% 30% 24% 불변(49업체) 회복(32업체) 침체(25업체)

설문에 응한 106개 주택건설업체 중 49개업체(46%)가 2022년도 2분기의 주택경기를 2022년도 1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32개업체(30%)는 1분기보다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1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60%), 침체(28%)〕보다 다소 호전된 수준이다. 최근들어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실물경제의 점진적 호전,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주택공급확대 기대감 등 부동산시장이 연착륙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주택경기 회복이유
33% 신규분양시장 호전예상
15업체
26% 기존주택시장 회복 예상
12업체
17% 실물경기 호전예상
8업체
9% 시중자금 유동성 풍부
4업체
6% 저금리기조 지속예상
3업체
9% 기타
4업체
세부항목별 주택경기전망
<2022년 2/4분기 전망(2021년 1/4분기 대비)>
  • 주택가격 58% 30% 12% 보합 상승 하락
  • 분양실적 40% 31% 29% 불변 악화 호전
  • 주택건설물량 41% 35% 24% 불변 증가 감소
  • 자금사정 44% 39% 17% 불변 악화 호전
  • 택지 보유량 52% 29% 19% 불변 감소 증가
  • 자재 구입량 40% 33% 27% 감소 불변 증가
2/4분기 자재수급동향
<2022년 2/4분기 전망(2022년 1/4분기 대비)>

수급양호

공급부족

공급과잉

철근 골재 레미콘 시멘트 내 ·외장재 기타자재 33% 45% 42% 43% 52% 53% 65% 53% 57% 54% 46% 45% 2% 2% 1% 3% 2% 2%
  • 2분기 부동산 인기상품
    신규분양아파트 (74업체) 39% 재개발·재건축아파트 (61업체) 32% 오피스텔·주상복합주택(18업체) 10% 임대아파트(15업체) 8% 토지(10업체) 5% 업무용빌딩·상가(8업체) 4% 전원주택·별장(1업체) 1% 기타(1업체) 1%
  • 수도권·지방 부동산시장 양극화 지속기간
    2년(46업체) 44% 1년(24업체) 23% 1년 6개월(9업체) 8% 6개월(7업체) 7% 기타 (19업체) 18%
  • 2분기 부동산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요인
    새정부의 부동산정책 기조(84업체) 42% 금리기조(43업체) 22% 글로벌 경제변수(27업체) 14% 실물경기 호전여부(17업체) 8% 코로나19 지속여부(13업체) 6% 주택수급문제(8업체) 4% 가계부채문제 해결여부(6업체) 3% 기타(1업체) 1%
  •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소비자 주택금융규제 완화 및 주택사업금융(PF대출) 보증 활성화(75업체) 38% 도심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도시관리정책 개선(27업체) 14% 주택사업 기부채납 절차 간소화 및 부담 완화(23업체) 12%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등 도시재생사업 민간참여 활성화(22업체) 11% 주택법 통합심의 의무화(21업체) 10% 공공건설임대주택 표준건축비 인상(15업체) 8% 민간건설임대주택 주택도시기금 지원 확대(12업체) 6% 기타(2업체) 1%
  • 서울·수도권 집값안정을 위한 주택공급확대 방안
    서울지역 재건축·재개발 활성화(35업체) 27% 서울 도심지역 용적률 상향·용도용적제 완화 등 도심주택공급 활성화(31업체) 24% 3기 신도시 조기공급(28업체) 22% 대폭적인 그린벨트 해제(12업체) 10% 임대아파트 공급축소 및 분양아파트 공급확대(12업체) 10% 리모델링 활성화(8업체) 6% 기타(1업체) 1%
  • 가장 시급한 주택수요 촉진 방안
    LTV·DTI·DSR 등 대출규제 완화(61업체) 53% 주택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완화(45업체) 39% 주택청약제도 개선(4업체) 3% 금리동결(4업체) 3% 가계소득 증대방안 마련(2업체) 2%
  • 중대재해처벌법이 주택업계에 미치는 영향
    법률자문비, 인건비 등 부대비용 증가로 주택업계의 경영위축을 가져올 것(64업체) 34% 주택사업 위축을 초래하여 원활한 주택공급에 악영향을 줄 것(55업체) 30% 주택업계에 단기적으로 악영향이 우려되지만 재해예방 효과가 더 클 것(44업체) 24% ESG경영의 정착으로 주택업계의 경쟁력제고에 도움이 될 것(14업체) 7% 주택업계에 별 영향이 없을 것(7업체) 4% 기타(1업체) 1%
바람직한 민간임대주택건설 활성화 방안
(주관식 설문)
1 민간임대주택에 대한 세금 및 금융지원 등 정부지원 필요(14업체) 38% 2 민간임대주택사업 관련 규제 및 인허가절차 16% 3 매입약정방식 임대주택건설 활성화(5업체) 14% 4 표준건축비, 감정가 등 주택건설원가 현실화(3업체) 8% 5 민간임대주택기금 지원 확대(2업체) 5% 6 기타(그린벨트 주택용지로 사용 등)(7업체) 19%
주택정책 개선 필요사항
(주관식 설문)
1 세금·용적률·재건축초과이익 환수 등 각종 정부규제 완화 (13업체) 36% 2 LTV·DTI·DSR 등 금융규제 완화(7업체) 19% 3 정부의 지나친 시장개입 자제(4업체) 11% 민간위주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로 양질의 주택공급 확대(3업체) 5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제도개선 필요(2업체) 6% 6 기타(지방 향토 주택업체 우대방안 필요)(7업체)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