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신재생에너지 관련
용어정리
세계는 에너지에 대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중이다. 에너지와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인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용어를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에서 정리한다.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사원
-
신재생에너지란?
-
- 지속될 수 있는 에너지 공급 체계를 위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생물 유기체 등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하여 이용하는 에너지 - 신재생에너지는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용어로 재생에너지에 신에너지를 추가한 개념*
- 지속될 수 있는 에너지 공급 체계를 위해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하여 이용하거나
* 신재생에너지의 정확한 정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 참조
-
신 에너지
- • 수소에너지
-
- 석유석탄의 대체 에너지원으로서의 수소
- 수소의 원료인 물이 많고, 연소하더라도 연기를 뿜지 않아 인류 궁극의 연료로 주목받음
- • 연료전지
-
-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
- 보통의 전지는 전지 내에 미리 채워진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지만 연료전지는
지속적으로 연료와 산소의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공급
-
재생에너지
- • 태양광발전
-
-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빛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
- • 태양열발전
-
- 태양열을 모아 고온의 공기, 수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시스템
- • 풍력발전
-
-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얻어내는 시스템
- 다양한 형태의 풍차를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 • 지열발전
-
- 지하의 고온층에서 증기나 열수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
- 지하의 고온층에서 증기나 열수의 형태로 열을 받아들여 발전하는 방식으로
-
신재생에너지 관련 용어
- • 그리드 패리티
-
-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와 기존 화석에너지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균형점
- • 녹색가격제도
-
- 소비자가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인상되는 추가적인 에너지 비용을 자발적으로 부담하는 제도
- • ESS
-
- 전력이 남아돌 때 쌓아뒀다가 부족할 때 쓰거나 필요한 곳에 보내주는 시스템
- • 히트펌프
-
-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
-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
건설관련 에너지 기술
- • 패시브에너지
-
- 건축물 본연의 실내환경 조절능력을 최대화하고 설비는 최소화하는 방식
- 아파트의 주동 배치, 두꺼운 단열재, 이중창호, 기밀성을 높인 시공과 마감 등 다양한 방법으로 패시브에너지 전략을 실행할 수 있음
- • 액티브에너지
-
- 설비나 기기의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건축물이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
- 고효율기기, 전열교환 환기장치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에너지를 관리
- • 제로에너지빌딩을 만드는 기술
-
- 패시브
- 계절 외기온도 등의 변화가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적은
에너지만으로도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자연환기 / 고기밀 외부차양 / 고성능창문(창호) / 외단열 / 자연채
- 액티브
- 다른 기자재보다 적게 에너지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성능으로
운전이 가능하거나 또는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 고효율보일러 / 고효율기기 / 폐열회수환기장치 / LED조명 /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 신재생
- 수소, 산소 등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신에너지와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재생에너지로 구분 - 태양광발전 / 태양열 / 연료전지 / 지열이용 / 냉난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