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호

Quick menu

TOP

  • HOME FUN LIFE fun한 맛

겨울 보약

생강

생강은 맛이 맵고 따뜻한 성질로 차가운 기운을 몰아내는 식치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냉증을 치료하는 성약이라고 불리며 오래전부터 주요한 약재로 쓰여왔다.
생강의 효능과 먹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 생강의 식치

    생강의 식치

  • 생강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효과가 조금씩 달라진다. 생강을 생것 그대로 먹으면 열을 오르게 하면서 냉기를 밀어내는 발산작용을 하기 때문에 감기 기운을 쫓는데 좋다. 그런데 평소에 기운 없는 사람이 감기도 아닌데 몸을 따뜻하게 한다고 생강차를 매일 마시면 발산작용 때문에 기운을 더 뺏길 수도 있다. 또한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먹는 경우에는 두통이나 피부트러블이 생길 수 있다.


  • 말린생강

    말린생강

  • 생강을 말리게 되면 발산작용이 줄어들고 속을 따뜻하게 덥히는 온리작용이 증가된다. 말린 생강은 몸속을 덥히기 때문에 배가 차가운 분들, 수족냉증이 있는 분들이 꾸준히 먹으면 냉증을 다스리는 약이 된다.


  • 염증잡는쇼가올 성분

    염증잡는쇼가올 성분

  • 무에는 탄수화물 분해를 돕는 디아스타제 소화효소가 풍부하다. 효소는 열에 약해서 가열하면 파괴되기 때문에 효소를 충분히 섭취하려면 생으로 먹는게 좋다. 소화가 안될 때 시원한 동치미 국물을 마시면 좋다는 이야기는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무에는 지방 분해를 돕는 에스테라 아제 효소도 풍부해서 치킨을 먹을 때 무절임을 먹고 짜장면을 먹을 때 단무지를 함께 먹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ip. 생강차 만드는 법

    • 흙이 묻은 신선한 생강을 고른다.
    • 껍질을 벗긴다. 생강은 육질과 껍질이 상반되는 특징이 있어서 육질은 성질이 따뜻한 반면 껍질은 서늘해서 벗겨내고 먹는다.
    • 얇게 슬라이스해서 찜기에 올린 후에 중불에서 약 20분 정도 쪄 준다.
    • 찐 생강을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바짝 말리거나, 식품 건조기에 넣고 70도에서 4~5시간 완전히 건조한다.
    • 물 1L에 말린 생강 10g을 넣고 끓여서 차로 마신다. 너무 오래 끓이면 정유성분이 날아가기 때문에 10-15분 정도만 끓여도 충분하다.

Tip. 생강차 마시는 법

    • 생강은 기운을 발산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기운이 상승하는 오전에 먹는게 좋다.
    • 생강은 꿀, 레몬과 궁합이 좋다. 생강은 꿀과 함께 먹으면 온열작용이 극대화 되고 레몬과 함께 먹으면 항산화 작용이 상승한다.
    • 생강이 상하면 나오는 사프롤이라는 성분은 발암물질로 작용한다. 곰팡이가 조금이라도 피면 도려내고 먹지말고 과감하게 버려야하는 이유다.
    • 생강이나 말린 생강 모두 급성 편도선염이나, 급성 위염, 급성 식도염 같은 급성 염증에는 피해야 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도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