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재테크는
어떻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월 이후 동결하면서 금리인상 기조는 둔화되는 듯 하지만
경기침체 등의 여파로 부동산을 비롯한 각종 투자시장의 전망은 밝지만은 않다.
직방에서 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에게 물은 2023년 재테크 계획은 어떤지 살펴보자.
정리 김우영 자료 출처 직방
-
01
2023년 투자를 한다면
부동산2023년 투자를 계획한다면 투자 비중을 늘릴 상품으로 부동산을 39.9%로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으로 △예금, 적금 △ 주식 △그대로 유지 △금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
02
10명 중 7명 이상은
부동산에 투자 중이거나 관심이 있다재테크, 투자수단으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 중 36.0%가 ‘예’라고 응답했다. 40.8%는 현재 부동산은 없지만 ‘투자 예정’이라고 답해 부동산투자에 관심있는 비율이 76.8%에 달했다.
-
03
투자예정 부동산 상품은
기존 아파트현재는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지 않지만 투자 예정이라는 응답자가 마음에 둔 부동산 상품은 무엇일까. 기존 아파트를 고른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신규아파트 청약 △ 아파트분양권, 입주권 △연립, 다세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04
2023년 재테크에 가장 큰 영향은
기준금리 변동2023년 재테크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는 기준금리 변동이 39.4%로 단연 가장 높았다. 이어 △국내 경기 침체 △부동산 거래 부진 및 청약시장 위축 △부동산PF, 2금융권 건전성 악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대외상황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