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호

Quick menu

TOP

  • HOME MONTHLY INFO 인포그래픽 뉴스

연령별 주거실태 현황

국토교통부에서 ‘2022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전국 표본가구 5.1만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그 중 연령별 주거현황 실태를 위주로 생애주기별 특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정리 김우영    자료 출처 통계청

정리 김우영

자료 출처 통계청

청년가구

82.5% 임차 거주, 전세자금 대출지원 가장 필요하다

청년가구는 대부분 임차가구로 거주하고 있으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 정책은 ‘전세자금 대출지원’으로 조사됐다.

*청년가구 : 가구주의 연령이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가구

  • 청년가구 주거점유형태

  • 청년가구에게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은

신혼부부 가구

73.3% 아파트 거주, 주택구입자금 대출 지원 원한다

신혼부부 가구의 43.6%는 자가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정책은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으로 조사됐다.

  • 신혼부부 가구 주거점유형태

  • 신혼부부 가구 주택유형

    신혼부부 가구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은

고령가구

75% 자가 거주,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 부담비율은 낮다

고령가구는 대부분 자가에 거주하며, 월평균 소득이 적어 다른 연령대에 비해 PIR(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높다.
대출금 상환이 끝났거나, 자가 비율이 높아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비율은 일반가구 대비 낮았다.

*고령가구 : 가구주의 연령이 만 65세 이상인 가구

  • 고령 가구 자가비율

    연령대별 자가가구 PIR

  • 월평균 소득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