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호

Quick menu

TOP

  • HOME MONTHLY INFO 인포그래픽 뉴스

2022년 주택소유통계 살펴보기

11월 14일 통계청이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를 발표했다.
이는 개인 및 가구별 주택소유 현황을 파악하여 주택관련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는 통계다.
2022년 주택소유통계 가운데 주택수, 주택 관련 평균률, 주택가격 등을 위주로 결과를 살펴본다.

정리 김우영    자료 출처 통계청

정리 김우영

자료 출처 통계청

  • 01

    총 주택수 1.8% 증가

    전체 주택수는 1,915만 6,000호로 지난해보다 34만 4,000호(1.8%) 증가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총 2,177만 4,000가구 중 1,223만 2,000가구(56.2%)로 집계됐으며, 무주택가구는 954만 1,000가구(43.8%)로 나타났다.

    총 주택수

    총 가구수 2,177만 4,000가구 중

  • 02

    주택 평균가격 상위 10%와 하위 10% 차이 40.5배

    2022년 주택 소유가구 가운데 상위 10%가 보유한 평균 주택 자산 가격은 12억 1,600만원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침체기’에 빠지면서 전년보다 2억 6,000만원 넘게 하락했으나 여전히 하위 10%의 평균 집값보다 41배가량 높았다

    상위 10%와 하위 10% 간 집값 격차 추이

03

주택 소유가구 평균 주택수 1.34호 / 평균 주택자산가액 3억 1,500만원

주택 소유가구의 평균 주택수는 1.34호, 평균 주택자산가액은 3억 1,500만원, 1호당 평균 주택면적은 86.7㎡, 가구주 평균 연령은 56.8세, 평균 가구원수는 2.58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아별 평균

04

주택소유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

일반가구의 주택소유율은 56.2%로 2021년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소유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 경남, 전남 순이었으며 낮은 지역은 서울, 대전, 제주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 전체 주택소유율

  • 지역별 주택소유율 높은순

  • 지역별 주택소유율 낮은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