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2021년 3분기 주택경기 전망

부동산시장 정상화 기대감 지속

올해 3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 조사·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개요
  •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2021. 6. 10 ~ 6. 29
  •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104개업체 답변(답변율:35%)
  •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1년 3/4분기 주택경기동향은
61% 26% 13% 불변(63업체) 회복(27업체) 침체(14업체)

설문에 응한 104개 주택건설업체 중 63개업체(61%)가 2021년도 3/4분기의 주택경기를 2/4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27개업체(26%)는 2/4분기보다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4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63%), 회복(26%)〕과 비슷한 수준이다. 최근들어 세계적인 경기부양책 마련과 코로나19 백신 보급확대에 따른 실물경제의 점진적 호전, 2.4 주택공급대책에 따른 주택공급확대 기대감 등 부동산시장이 연착륙할 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3분기 주택경기 회복이유는
26% 신규분양시장 호전예상
14업체
23% 시중자금 유동성 풍부
12업체
23% 실물경기 호전예상
12업체
13% 저금리기조 지속예상
7업체
9% 기존주택시장 회복예상
5업체
6% 기타
3업체
세부항목별 주택경기전망
<2021년 3/4분기 전망(2021년 2/4분기 대비)>
  • 주택가격 51% 48% 1% 보합 상승 하락
  • 분양실적 54% 32% 14% 불변 호전 악화
  • 주택건설물량 40% 38% 22% 불변 증가 감소
  • 자금사정 57% 23% 20% 불변 악화 호전
  • 택지 보유량 60% 20% 20% 불변 증가 감소
  • 자재 구입량 46% 30% 24% 불변 증가 감소
3/4분기 자재수급동향
<2021년 3/4분기 전망(2021년 2/4분기 대비)>

수급양호

공급부족

공급과잉

철근 레미콘 골재 시멘트 내 · 외장재 기타자재 53% 50% 49% 39% 36% 81% 46% 60% 63% 19% 49% 50% 1% 1% 1% 1% 1%
  • 3/4분기 부동산 인기상품
    신규분양아파트 (90업체) 43% 재개발 ·재건축아파트 (52업체) 25% 오피스텔 · 주상복합주택 (22업체) 10% 임대아파트 (18업체) 9% 토지 (14업체) 7% 업무용빌딩 · 상가 (7업체) 3% 전원주택 · 별장 (4업체) 2% 기타 (1업체) 1%
  • 향후 주택시장 양극화현상 지속기간
    2년 (51업체) 49% 기타 (19업체) 18% 7% 1년 6개월 (7업체) 5% 6개월 (5업체) 21% 1년 (22업체)
  • 3/4분기 부동산시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
    기타(1업체) 1% 19% 금리기조(40업체) 13% 주택 수급문제(27업체) 12% 실물경기 호전여부(26업체) 7% 코로나19 지속여부(14업체) 6% 글로벌 경제변수(13업체) 6% 가계부채문제 해결여부(13업체)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규제정책 지속여부(75업체) 36%
  • 주택건설경기 연착륙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DTI · LTV · DSR 등 주택금융규제 완화(66업체) 30% 부동산 보유세 ·거래세 부담 완화(50업체) 23% 신규 공공택지 조기 공급(20업체) 9% 주택사업금융(PF대출) 보증 활성화(20업체) 9% 도시재생사업 민간참여 활성화(13업체) 6% 사업계획승인 절차 간소화를 위한 통합심의(13업체) 6% 기타(3업체) 1% 용적률 상향 등 도심주택공급 활성화(34업체) 16%
  • ‘2.4 주택공급대책’ 관련 민간주택사업자의
    사업참여 확대 방안
    도심지 용적률 상향 · 용도용적제 완화(30업체) 23% HUG 고분양가 심사기준 개선 및 지자체의 분양가격 인하 심사(29업체) 22% 소규모주택정비사업 참여 민간주택사업자 인센티브 강화(17업체) 13% 기존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소규모재개발사업으로 전환 필요(8업체) 6% 공공택지 인센티브 기준 완화(2업체) 2% 기타(2업체) 2% 32% 재개발 ·재건축 관련 규제 완화(42업체)
  • 성공적인 3기 신도시 개발을 위해 필요한 방안
    신도시 개발사업과 동시에 광역 교통시설 착공(50업체) 42% 민간아파트 분양물량 대폭 확대(22업체) 19% 주거지와 직장이 가까운 자족형 신도시 개발(15업체) 13% 2기 신도시 광역교통망 조기 확충 병행 추진(12업체) 10% 서울의 공급확대방안과 병행 추진(10업체) 8% 용적률 상향 조정(6업체) 5% 기타(2업체) 3%
  • 현 정부 4년간의 부동산 정책 평가
    2% 성공적이다(2업체) 실패다(74업체) 71% 모르겠다(28업체) 27%
  • 부동산정책 실패요인
    21% 시장수급원리에 기초한 부동산정책이 아닌 부동산정치 시행(21업체) 16% 부동산시장 상황에 맞춘 탄력적 정책 부재(16업체) 14% 지속적인 고강도 부동산규제정책 시행(14업체) 42% 정부의 지나친 부동산시장 개입에 따른 시장 왜곡(42업체) 1% 기타(1업체) 민간과 공공의 역할분담 미흡(6업체) 6%
신임 국토부장관에 바라는 주택공급확대방안
(주관식 설문)
1 3 2 4 5 6 부동산개발 관련 규제완화(17업체) 45% 민간개발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3업체) 8% 기타(중소주택건설업체 지원방안 마련 등)(6업체) 16% 재개발 ·재건축 활성화(5업체) 13% 수도권 인근지역 신도시 개발(4업체) 10% 주택공급물량 확대(3업체) 8%
정부의 주택정책 개선 필요사항
(주관식 설문)
1 3 2 4 5 6 각종 주택금융규제 완화 및 세제지원 확대(18업체) 48% 정부의 지나친 시장개입 자제(2업체) 6% 기타(HUG의 분양보증 독점권 해결 등)(4업체) 11% 주택정책의 일관성 및 신뢰성 필요(7업체) 18% 국토의 균형발전을 위한 대책 필요(4업체) 11% 공공주도가 아닌 민간위주 주택정책으로 전환 필요(2업체) 6%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