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아파트 원하는
희망수요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거양식은 단연 아파트이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아파트를 원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잘 살펴서 주택수요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다.
  •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 비중 62.3%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집에 살고 있다. 크게 주택과 비주택으로 구분한다. 주택법에서 정하고 있는 주택은 <표1>에서 보듯이 아파트, 단독, 다세대, 연립 등 다양하다. 이 중에서 아파트가 62.3%로 가장 많다. 그 다음으로 일반단독주택(14.6%)과 다세대주택(12.1%) 순이다. 주택은 아니지만 오피스텔과 고시원에서도 산다. 거처를 중심으로 보면 <그림2>와 같다. 전체 거처의 50.2%가 아파트다.
이처럼 우리나라 주택과 거처의 대부분은 아파트다. 단독주택을 선호하는 미국, 일본 등 해외국가들과 다른 점이다. 아파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거양식인 것이다. 이러한 아파트 중심의 주거문화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아파트로 이주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특성을 잘 따져보는 것도 새로운 주택수요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표1> 주택유형별 주택수와 거주가구수
자료: 통계청, 2019년 주택총조사 및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재분석 주: 비거주용건물은 상가, 공장, 여관 등을 의미함 <표1> 주택유형별 주택수와 거주가구수 구 분 아파트 다가구 단독주택 일반 단독주택 영업겸용 단독주택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계 주택수 1,128.70 82.0 265.2 44.6 219.5 51.4 21.3 1,812.70 거주가구 1,001.10 348.4 249.9 41.1 187.3 43.4 31.3 1,902.50 (단위 : 만호, 만가구)
(단위 : 천명, 천호, %)
구분 아파트 다가구
단독주택
일반
단독주택
영업겸용
단독주택
다세대
주택
연립주택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주택수 1,128.70 82.0 265.2 44.6 219.5 51.4 21.3 1,812.70
거주가구 1,001.10 348.4 249.9 41.1 187.3 43.4 31.3 1,902.50
자료: 통계청, 2019년 주택총조사 및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재분석
주: 비거주용건물은 상가, 공장, 여관 등을 의미함
 
<그림1> 주택유형별 비중
아파트 62.3% 일반단독주택 14.6% 다세대주택 12.1% 다가구 단독주택 4.5% 연립주택 2.8% 영업겸용 단독주택 2.5%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1.2%
<그림2> 사람들이 살고 있는 거처유형별 비중
아파트 50.2% 다가구 단독주택 17.5% 일반단독주택 12.5% 다세대주택 9.4% 오피스텔 2.3% 연립주택 2.2% 영업겸용 단독주택 2.1%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1.6% 고시원 1.4% 기타 0.8%
국내 120만 ~ 265만 가구, ‘아파트’로 이주 원해

<표2>에서 2019년 기준으로 아파트로 이사하고 싶어 하는 희망가구는 약 120.3만~265.9만 가구쯤 될 것으로 추정된다.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과 같이 아파트 이주가 곤란할 수 있는 가구를 제외한 후에, 향후 이사계획과 아파트 이사 희망 비중을 고려하여 산출된 수치다. 이는 2019년 총 가구(1,994만 가구)중 약 6~13%에 해당된다.
이사계획이 가장 많은 거처는 오피스텔(16.3%)이고, 그 다음이 다세대주택(11.2%), 비거주용 건물내주택(11.7%), 다가구 단독주택(10.2%) 순이다. 반면에 일반단독주택(2.0%)과 고시원(6.4%)은 상대적으로 이사계획이 낮다.
이사계획 가구 중에서 아파트로 이사하고 싶어 하는 비중은 아파트가 91%로 가장 높다. 비아파트에 살고 있는 사람들도 아파트로 옮기고 싶어 한다. 특히 영업겸용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거주자의 50%이상이 아파트에서 살기를 원한다.
이러한 이주희망 수요를 고려했을 때 아파트 이주희망수요가 120.3만 ~265.9만 가구쯤 된다. 이들이 모두 새 아파트를 분양받는 것은 아니다. 20% 정도가 신규 분양주택(재개발, 재건축 포함)시장에서 집을 마련하고 나머지 80%는 기존 재고주택이나 개인적으로 신축 또는 증여 등의 방식으로 집을 마련한다. 이 비중을 고려해서 이주에 따른 신규아파트 잠재수요를 산출해보면, 약 24.1만~53.2만 가구다.
아파트에서 아파트로, 비아파트에서 아파트로 이사계획을 갖고 있는 잠재수요에 대한 세밀한 관찰은 아파트사업에 있어 틈새수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표2> 거주유형별 향후 이사계획과 아파트 이주희망 가구수
자료: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재분석 주: 2019년 1,994만 가구 중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 거주가구 제외한 1,976.9만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가구수(최소)는 이사계획이 있는 가구수(A)를 기준으로 추정한 값이며, 가구수(최대)는 이주가능가구수(A+B)를 기준으로 추정한 값임 <표2> 거주유형별 향후 이사계획과 아파트 이주희망 가구수 구 분 거주 가구수 향후 이사계획 이주가능가구수 (= 거주가구수 × 향후 이사계획) 아파트 이사 희망 비중 이주의사에 따른 아파트 희망가구수 (= 이주에 따른 아파트 수요) 있음(A) 유보적(B) 없음 있음(A) 유보적(B) 계(A + B) 가구수(최소) 가구수(최대) (단위) 만가구 % % % 만가구 만가구 만가구 % 만가구 만가구 아파트 1001.1 9.5 9.0 81.5 95.4 90.2 185.6 91.0 86.8 168.8 다가구 단독주택 348.4 10.0 15.8 74.2 34.9 55.0 89.9 38.8 13.6 34.9 일반단독주택 249.9 2.0 6.3 91.6 5.1 15.9 20.9 45.3 2.3 9.5 영업겸용 단독주택 41.1 9.6 11.8 78.7 3.9 4.8 8.8 50.6 2.0 4.4 다세대주택 187.3 11.2 13.4 75.4 21.0 25.0 46 43.5 9.1 20.0 연립주택 43.4 9.0 11.8 79.2 3.9 5.1 9.0 57.7 2.2 5.2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31.3 11.7 13.6 74.7 3.7 4.2 7.9 19.9 0.7 1.6 오피스텔 46.3 16.3 22.6 61.2 7.5 10.4 18.0 41.5 3.1 7.5 고시원 28.0 6.4 25.4 68.1 1.8 7.1 8.9 27.9 0.5 2.5 계 1976.9 - - - 177.2 217.9 395.1 67.3 120.3 265.9
구분 거주
가구수
향후 이사계획 이주가능가구수
(= 거주가구수 × 향후 이사계획)
아파트 이사
희망 비중
이주의사에 따른
아파트 희망가구수
(= 이주에 따른 아파트 수요)
있음(A) 유보적(B) 없음 있음(A 유보적(B) 계(A + B) 가구수(최소) 가구수(최대)
(단위) 만가구 % % % 만가구 만가구 만가구 % 만가구 만가구
아파트 1001.1 9.5 9.0 81.5 95.4 90.2 185.6 91 86.8 168.8
다가구 단독주택 348.4 10.0 15.8 74.2 34.9 55 89.9 38.8 13.6 34.9
일반단독주택 249.9 2.0 6.3 91.6 5.1 15.9 20.9 45.3 2.3 9.5
영업겸용 단독주택 41.1 9.6 11.8 78.7 3.9 4.8 8.8 50.6 2 4.4
다세대주택 187.3 11.2 13.4 75.4 21 25 46 43.5 9.1 20
연립주택 43.4 9.0 11.8 79.2 3.9 5.1 9 57.7 2.2 5.2
비거주용 건물내주택 31.3 11.7 13.6 74.7 3.7 4.2 7.9 19.9 0.7 1.6
오피스텔 46.3 16.3 22.6 61.2 7.5 10.4 18 41.5 3.1 7.5
고시원 28 6.4 25.4 68.1 1.8 7.1 8.9 27.9 0.5 2.5
1976.9 - - - 177.2 217.9 395.1 67.3 120.3 265.9
자료 :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재분석
주: 2019년 1,994만 가구 중 판잣집, 비닐하우스 등 거주가구 제외한 1,976.9만 가구를 대상으로 분석했으며, 가구수(최소)는 이사계획이 있는 가구수(A)를 기준으로 추정한 값이며, 가구수(최대)는 이주가능가구수(A+B)를 기준으로 추정한 값임
전국 평균 자가율 자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지역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