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신규 아파트사업
틈새시장 있다

아파트 구매수요는 늘어나는데, 보유할 수 있는 아파트는 부족하다.
지역별 상황을 보면 신규사업의 적지와 적정 규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
아파트 공급 부족이 집값 올린다

사람들은 아파트를 선호한다. 특히 새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크다. 아파트가 생활의 편리함과 재테크 등 다양한 가치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2019년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는 1,128만호로, 전체 주택의 62%를 차지한다. 그러나 정부가 주택보급률을 산정할 때 사용하는 등록센서스 기준으로 보면 아파트 비중은 53%로 급격히 낮아진다. 두 통계의 차이는 한 호에 여러 가구가 사는 다가구주택 때문이다.
등록센서스 기준으로 아파트가 제일 적은 곳은 제주도(27.6%)이고, 대도시 중에는 서울(46%)이 가장 적다. 전국 광역시의 아파트 비중은 모두 50%를 넘어섰고, 광주와 경기도 지역은 60%를 넘는다. 따라서 광주와 경기도에서 아파트사업을 할 때는 다른 지역보다 수요 조사를 더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신축 아파트는 더 많이 부족하다. 20년 미만인 아파트를 등록센서스 기준으로 살펴보면 서울은 26.1% 수준이다. 최근 집값이 많이 오른 대전도 29.1%에 불과하다. 이들 지역에서는 새 아파트값이 천정부지일 수밖에 없다. 반면 세종은 73.6%인데 아파트값은 올랐다. 한참 개발 중인 신도시의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결국 오늘의 주택문제는 주택수 부족이 아니라, 아파트 부족이 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서울에는 양질의 아파트가 부족하고, 지방의 도시에는 아파트 자체가 적다.

(단위 : 천명, 천호, %) 점유형태별 주택보유의식 자료 : 국가통계포탈 인구 및 주택총조사 자료 재분석 구분 인구수 주택수 아파트수 아파트비중 20년 미만 아파트 수 20년미만 아파트비중 총조사 등록센서스 총조사 등록센서스 총조사 등록센서스 전국 51,779 18,127 21,310 11,287 62.3 53.0 6,673 36.8 31.3 서울 9,640 2,954 3,739 1,721 58.3 46.0 975 33.0 26.1 부산 3,373 1,250 1,439 831 66.5 57.8 440 35.2 30.6 대구 2,430 800 1,001 580 72.4 57.9 320 39.9 31.9 인천 2,952 1,019 1,123 648 63.6 57.7 355 34.9 31.6 광주 1,490 526 628 420 79.7 66.8 226 42.9 36.0 대전 1,499 493 618 362 73.5 58.6 180 36.5 29.1 울산 1,144 392 487 286 73.1 58.8 157 40.2 32.3 세종 338 132 145 113 85.2 78.0 106 80.4 73.6 경기 13,301 4,355 4,979 3,021 69.4 60.7 2,014 46.3 40.5 강원 1,520 627 715 346 55.2 48.4 188 29.9 26.3 충북 1,629 626 749 370 59.1 49.3 204 32.6 27.3 충남 2,189 851 979 468 55.0 47.8 310 36.5 31.7 전북 1,807 725 816 401 55.3 49.1 197 27.2 24.2 전남 1,788 788 842 347 44.0 41.2 187 23.7 22.2 경북 2,668 1,081 1,293 529 48.9 40.9 288 26.6 22.2 경남 3,347 1,267 1,481 767 60.6 51.8 471 37.2 31.8 제주 665 242 277 76 31.6 27.6 55 22.8 19.9
점유형태별 주택보유의식
(단위 : 천명, 천호, %)
구분 인구수 주택수 아파트수 아파트비중 20년 미만
아파트 수
20년미만 아파트비중
총조사 등록센서스 총조사 등록센서스 총조사 등록센서스
전국 51,779 18,127 21,310 11,287 62.3 53 6,673 36.8 31.3
서울 9,640 2,954 3,739 1,721 58.3 46 975 33 26.1
부산 3,373 1,250 1,439 831 66.5 57.8 440 35.2 30.6
대구 2,430 800 1,001 580 72.4 57.9 320 39.9 31.9
인천 2,952 1,019 1,123 648 63.6 57.7 355 34.9 31.6
광주 1,490 526 628 420 79.7 66.8 226 42.9 36
대전 1,499 493 618 362 73.5 58.6 180 36.5 29.1
울산 1,144 392 487 286 73.1 58.8 157 40.2 32.3
세종 338 132 145 113 85.2 78 106 80.4 73.6
경기 13,301 4,355 4,979 3,021 69.4 60.7 2,014 46.3 40.5
강원 1,520 627 715 346 55.2 48.4 188 29.9 26.3
충북 1,629 626 749 370 59.1 49.3 204 32.6 27.3
충남 2,189 851 979 468 55 47.8 310 36.5 31.7
전북 1,807 725 816 401 55.3 49.1 197 27.2 24.2
전남 1,788 788 842 347 44 41.2 187 23.7 22.2
경북 2,668 1,081 1,293 529 48.9 40.9 288 26.6 22.2
경남 3,347 1,267 1,481 767 60.6 51.8 471 37.2 31.8
제주 665 242 277 76 31.6 27.6 55 22.8 19.9
자료 : 국가통계포탈 인구 및 주택총조사 자료 재분석
전국 평균 자가율 자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지역
점유방식별 아파트거주비중
전국 제주 서울 경남 부산 경북 대구 전남 인천 전북 광주 충남 대전 충북 울산 강원 세종 경기 자가 전월세 무상 점유방식별 아파트거주비중
지역별 수요분석으로 신규사업 틈새시장 찾아야

우리나라의 주택보유의식은 84.1%, 자가보유율은 61.2%다. 10명 중 8명이 집을 보유하길 원하는데 실제로 집을 보유한 사람은 6명이라는 얘기다. 이 차이를 가구수로 환산해 보면, 약 478만 가구에 이른다.
집을 보유하길 원하는 478만 가구를 다시 지역별로 분석해 보면 서울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그 다음이 부산, 경남, 경북, 인천, 충남지역 순이다.
특히 자가가구 60% 정도는 아파트에 살고 있으며 전월세가구나 무상가구는 30% 정도만 아파트에 살고 있다. 이들 상당수가 내 집 마련 과정에서 아파트를 선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아파트가 희소한 지방의 중소도시나 농어촌지역이 틈새시장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지역마다 다른 아파트비중, 주택보유의식과 자가보유율 차이, 그리고 점유형태에 따른 아파트거주율 등을 고려하여 입체적인 수요분석을 한다면, 신규사업 적지와 적정 규모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단위 : 천가구, %) 지역별 주택보유의식 및 아파트거주율 자료 : 가구수는 국가통계포탈, 그 외 자료는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2019) 마이크로데이터 재분석 구 분 가구수 주택 보유의식 자가 보유율 자가 점유율 가구중 아파트 거주율 점유형태별 아파트 거주 비중 자가 전월세 무상 전국 20,891 84.1 61.2 58.0 50.2 59.9 37.1 34.1 서울 4,044 81.8 47.7 42.9 42.4 61.7 27.7 31.0 부산 1,392 84.4 64.3 62.2 54.8 68.5 32.3 33.3 대구 980 89.0 61.9 59.8 56.2 70.8 33.2 48.3 인천 1,150 87.4 63.0 60.1 54.4 66.0 37.3 33.2 광주 596 88.9 64.1 63.1 65.5 80.3 39.7 47.7 대전 616 84.1 56.8 53.8 55.5 71.3 35.9 50.4 울산 446 73.4 67.3 64.1 58.8 70.0 37.2 51.3 세종 132 91.5 59.1 53.3 73.1 78.2 69.8 45.8 경기 5,098 82.7 57.4 53.6 57.0 67.6 45.2 41.1 강원 641 85.6 67.3 64.6 44.6 42.4 45.6 60.7 충북 671 85.4 68.4 66.0 47.3 53.0 36.4 35.5 충남 892 85.9 70.4 67.6 45.4 47.8 44.0 20.4 전북 750 89.5 71.9 70.0 47.1 53.0 35.2 20.0 전남 752 93.8 75.9 74.5 38.5 35.5 55.9 10.7 경북 1,123 92.2 74.0 71.7 40.4 43.6 33.3 26.3 경남 1,347 72.3 71.2 68.6 50.2 55.1 42.3 19.3 제주 261 85.8 62.3 58.1 25.6 28.3 24.8 11.8
지역별 주택보유의식 및 아파트거주율
(단위 : 천가구, %)
구분 가구수 주택
보유의식
자가
보유율
자가
점유율
가구중
아파트 거주율
점유형태별 아파트 거주 비중
자가 전월세 무상
전국 20,891 84.1 61.2 58 50.2 59.9 37.1 34.1
서울 4,044 81.8 47.7 42.9 42.4 61.7 27.7 31
부산 1,392 84.4 64.3 62.2 54.8 68.5 32.3 33.3
대구 980 89.0 61.9 59.8 56.2 70.8 33.2 48.3
인천 1,150 87.4 63.0 60.1 54.4 66 37.3 33.2
광주 596 88.9 64.1 63.1 65.5 80.3 39.7 47.7
대전 616 84.1 56.8 53.8 55.5 71.3 35.9 50.4
울산 446 73.4 67.3 64.1 58.8 70 37.2 51.3
세종 132 91.5 59.1 53.3 73.1 78.2 69.8 45.8
경기 5,098 82.7 57.4 53.6 57 67.6 45.2 41.1
강원 641 85.6 67.3 64.6 44.6 42.4 45.6 60.7
충북 671 85.4 68.4 66 47.3 53 36.4 35.5
충남 892 85.9 70.4 67.6 45.4 47.8 44 20.4
전북 750 89.5 71.9 70 47.1 53 35.2 20
전남 752 93.8 75.9 74.5 38.5 35.5 55.9 10.7
경북 1,123 92.2 74 71.7 40.4 43.6 33.3 26.3
경남 1,347 72.3 71.2 68.6 50.2 55.1 42.3 19.3
제주 261 85.8 62.3 58.1 25.6 28.3 24.8 11.8
자료 : 가구수는 국가통계포탈, 그 외 자료는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2019) 마이크로데이터 재분석
전국 평균 자가율 자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지역
지역별 주택보유의식 및 아파트거주율
지역별 주택보유의식과 자가점유율 주택보유의식 자가보유율 전남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경북 세종 전북 대구 광주 인천 충남 제주 강원 충북 부산 전국 대전 경기 서울 울산 경남 (%) 자료 : 국토교통부(2020), 2019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재분석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