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부동산토지, A to Z
부동산사업을 진행하거나 토지 등기부등본을 보면 너무나 다양한 종류의 부동산토지들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을 통해 주택사업시 자주 등장하는 토지들의 정확한 의미를 정리해두자.
글 김우영
-
1. 부지 /택지 / 대지
-
부지
• 포괄적으로 건축용땅 + 비건축용땅을 말함
• 부지는 건축용부지, 도로부지, 하천부지와 같이 일정한 용도로 이용되는 토지
• 건축용지 외에 하천부지, 철도용부지, 수도용부지 등으로도 사용됨 -
택지
• 부지중에서 건축할 수 있는 토지(건부지+나지)를 택지라 함
• 주거, 상업, 공업용지가 이에 해당 -
대지
• 건설행위가 이뤄질 예정이거나 이뤄진 토지를 말함
•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상의 대지는 지목이 대(주거, 상업)인 토지로 구분되나,
「건축법」 상의 대지는 주거, 상업, 공업용 토지로 구분
• 의미상 택지와 비슷하나 택지보다는 좁은 개념

- 부지 : 일정한 용도로 제공이 되는 바닥토지
-
넓은개념 ⇨ 철도 · 도로 · 하천의 바닥 땅(철도부지, 도로부지, 한강부지)
좁은개념 ⇨ 건물의 바닥이 되는 땅(전원주택부지, 공장부지)
택지 : 주거 · 상업 ·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목적으로 조성된 토지(감정평가상용어)
대지(지목 대) : 주거, 상업으로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목적으로 조성된 토지(건축평가상 용어)
-
2. 토지의 용도별 분류
-
-
택지지역
• 주거, 상업, 공업용지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거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된 토지
• 주택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으로 구분 -
농지지역
• 실제로 농경지 또는 다년생 식물의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와 그 개량시설의 부지
• 전지지역, 답지지역, 과수원지역으로 구분 -
임지지역
• 산림지와 초지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
• 신탄림지역, 용재림지역으로 구분
-
3. 후보지 / 이행지
-
-
후보지
• 부동산의 용도지역인 택지지역, 농지지역, 임지지역 상호간에 전환되고 있는 지역의 토지 예정지, 가막지라고도 함
예) 공업지역이 상업지역으로 변경되고 있는 경우 -
이행지
• 임지지역, 택지지역, 농지지역 등 지역 내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
예) 공업지역이 상업지역으로 변경되고 있는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