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건설부문성장세,도시화,개혁에따른기회의 땅
중앙아시아 변화의 상징
우즈베키스탄

1 주택시장 현황

우즈베키스탄은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5% 내외의 견조한 경제성장률 속에서 특히 건설 부문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신정부 출범 이후 정치 경제 분야에서 대대적인 개혁이 추진중에 있으며, 도시화와 함께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시에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변서경
도시공학 석사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

코로나19 상황에도 건설 부문 높은 성장세

우즈베키스탄의 건설 부문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6월 기준 우즈베키스탄의 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5.8% 포인트 하락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은 9월에 발표한 ‘2020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우즈베키스탄의 연간 GDP 성장률을 0.5%로 조정했는데 이는 2019년 대비 무려 5.2%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올해 우즈베키탄은 공업(-1.9%), 도소매·숙박·요식업(-1.1%), 운수·IT(-3.2%)와 같은 산업부문에서 모두 빨간불이 켜져 있다. 단 건설 부문만 전년 동기대비 7.3%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건설이 우즈베키스탄 경제를 지탱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유독 건설 부문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건설 부문은 코로나19로 인한 봉쇄기간에도 건설활동 재개 허가를 비교적 빠르게 받았다. 코로나19로 인해 도시 기능이 일부 정지되어 오히려 시내 인프라 개선 사업이 탄력을 받아 추진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건설 부문이 다른 산업에 비해 빨리 정상화됐다.
인프라 개선사업은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최근 역점을 두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낙후된 국가 인프라 발전을 통한 경제발전 기반 마련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의 경제성장률
‘폐쇄’에서 ‘개방’으로 개혁정책 추진

우즈베키스탄은 체제전환 이후 점진적인 개혁정책을 추구하면서 시장경제를 서서히 받아들이고 비교적 폐쇄적인 정책을 펴왔던 국가이다. 하지만 카리모프 초대 대통령 서거(2016년 9월) 이후,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omonovich Mirziyoyev, 1957~) 대통령의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우즈베키스탄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개혁이 추진중에 있다. 특히 2017년 2월 국가 발전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와 함께,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2017-2021년 국가개발전략」 추진 발표를 통해 국가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
이 중 경제발전 및 자유화의 세부정책으로서 거시경제 안정 및 높은 경제 성장 지속, 환전 자유화의 단계적 도입, 은행시스템 개혁, 경제구조개혁 및 현대화, 개인 소유권 강화, 중소기업활성화, 지역 균형 발전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2016년 12월부터 변동환율제 도입 및 외환규제 자유화를 고려한 이후 실질적으로 단계적 실행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저성장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이를 타개하고 새로운 성장모멘텀을 찾기 위해 대외적으로 경제협력 강화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시장 보호와 점진적인 시장경제 도입에서 벗어나 자국시장을 보호하는 기조는 유지하되 개방적인 기조를 견지하면서 대외적인 경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우리기업도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기회 열려

시장개방과 경제성장을 토대로 우즈베키스탄은 국토개발 및 주요 도시의 개발이 급격히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주요 건설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2030년까지 2015년 대비 GDP를 2배 증가시키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또한 World Bank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의 도시인구는 2009년 비도시인구를 추월했고 2019년 전체인구 3,358만 명 중 50.4%가 도시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나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 중이다. 일찍이 도시화 과정을 겪은 국가들처럼 우즈베키스탄은 수도인 타슈켄트 등 소수의 도시에 인구가 집중하여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타슈켄트나 사마르칸트 등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도시에 주택 공급 및 교통, 산업, 주거에 필요한 각종 도시기반시설의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우즈베키스탄 자체적으로 급격한 도시화에 대응하기에는 재정적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우즈베키스탄에 대한 해외투자가 급격히 증가할 전망이다. 이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취임 후 미국, 프랑스, 한국 등을 방문하고 정상외교를 통한 투자 협약을 다수 체결한 바 있다.
한국은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을 통해 3년간(2018-2020년) 5억 달러의 차관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한국수출입은행이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사업에 대해 최대 20억 달러 규모의 금융지원을 약속했다. 양국간의 합의로 우리 기업은 대규모 우즈베키스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상태다.
우즈베키스탄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장을 개방하고 있는 국가이면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주요 도시를 개발하고 있는 국가이다. 장기적으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확대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해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어있는 국가이므로 한국의 건설업계가 도시 및 인프라 개발 시장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현지 부동산 업체인 Golden House가 타슈겐트 도심부에 건설한 아파트(자료 : Vietnam Market Report, CBRE(2019))
수도 타슈켄트의 주택시장
타슈켄트 주택건설계획

우즈베키스탄은 인구 3,358만명으로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주거 시설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제다. 그러나 주택, 상하수도 시설 등의 생활 인프라가 매우 낙후되어 있어 일부 국민들은 안정적인 생활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수도 타슈켄트의 경우 점점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노후화된 주택이 많아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타슈켄트로의 거주이전제한제도가 완화됨에 따라 관련 주택건설프로젝트 추진이 활발하다. 타슈켄트 등 전국적으로 5만 세대를 위한 아파트 건설계획이 그것이다.
대표적으로 현지 부동산 업체인 Golden House의 주택건설 프로젝트가 타슈켄트 주요 도심부에서 다양하게 진행 중이며, 특히 기존과 차별화된 고급주택 공급에 주력하면서 성공적으로 분양했다.

타슈켄트시 Zone 구분
자료 : State Committee for Statistic
타슈켄트 아파트 가격

타슈켄트는 일반적으로 서민주택 분양가가 ㎡당 700달러 정도, 고급주택 분양가는 ㎡당 1,500달러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2014년을 정점으로 하여 아파트가격이 하락하다가 2018년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Zone1인 도심부의 아파트가격이 가장 비싸며 도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주택가격이 낮다.

(좌)타슈켄트의 신규 분양아파트 위치도 (우)타슈켄트의 신규분양아파트 Akay 조감도
타슈켄트 신규아파트 분양가격

최근에 타슈켄트 시내에 분양한 신규아파트 분양가격은 지역별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25개 단지(complex) 중 5개 단지가 ㎡당 2,000달러 이상 가격에 분양했다. 9개 단지는 ㎡당 $1,000 이하 가격에 분양하는 등 지역별로 큰 편차를 보인다.
우즈베키스탄의 은행금리는 중앙은행이 15%, 대출금리가 25% 전후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준공시점과 분양금을 납입하는 시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100% 선납시 30% 할인, 50% 선납시 15%할인, 30% 선납시 7% 할인 등과 같이 준공 시점이 멀수록 할인율이 커진다.

타슈켄트 존별 중고아파트 가격
단위 : (у.е./кв.м.), (유로/m2)
타슈켄트 존별 중고아파트 가격
구분 2012년 11월 2013년 8월 2014년 8월 2015년 8월 2016년 8월 2017년 8월 2018년 3월
Zone 1 751 789 898 894 764 732 768
Zone 2 609 679 777 802 608 584 628
Zone 3 570 650 718 725 553 515 596
Zone 4 608 684 799 651 497 470 522
Zone 5 527 610 742 585 465 410 428
자료 : Gazeta.uz
타슈켄트 시내 신규 분양아파트 가격
단위 : 달러
타슈켄트 시내 신규 분양아파트 가격
지역명 단지명 ㎡당 가격 지역명 단지명 ㎡당 가격
올마조르 Olmazor city 1000~1500 칠란자르 Novza 1064~1275
Cambridge 1000~1800 Humo 800~935
Qora-qamish 520 야카사로이 Kushbegi 970~1090
유노사바드 Nova garden 910~1030 Parisien 1000~1100
Kazakhstan 1250 Glinka 1385~2450
Akay 1400~1550 Solaris 690~705
Marvarid 610~710 미라보드 Mirabad Avenue 1885~2120
샤이혼토허 One 2000~4500 Greenwich 850~920
Gardens 1800~2500 Chekhov 1200
Boulvard 1500~2300 야시나바드 Izzat 600~675
미르조 울루그벡 White Palace 810~1085 Parkent Plaza 600~750
Nova Center 1030~1170 Green Park 930~975
  세르겔리 Elite House 375~450
자료 : 주 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2019.11), 우즈벡 경제·에너지 동향 세미나, 27p.
우즈베키스탄 주택시장 현황
구분 내용
일반현황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국가
면적 : 4,489만ha (한국의 약 4.5배, 세계 54위)
인구현황 약 3,346만명(2020년 통계청, UN, 대만통계청 기준, 세계 42위)
주요도시 타슈켄트시
-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좋은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인구가 계속 유입되고 있어 도심과 거주지가 계속 확장되고 이는 추세
사마르칸트
- 제2의 도시로 타슈켄트의 남서쪽에 위치. 아미르 티무르가 건설한 대제국 티무르 제국의 수도였으며,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음. 타슈켄트에서 사마르칸트까지 항공과 고속철도를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
인프라 우즈베키스탄
- 전국적으로 도로 상황이 좋지 못함. 도시를 벗어나면 비포장도로가 대부분이고, 타슈켄트, 사마르칸트와 같은 주요 도시의
경우에도 차도와 인도 모두 포장상태가 불량하고 도로표면이 패인곳이 많아 차량통행과 보행 모두 불편하고 위험한 상황
- 시내 주차공간도 매우 부족하여 시내 곳곳에서 도로변 주차가 매우 흔해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이 위험
타슈켄트시
- 시내 차량 운행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시내로 진입하는 도로의 교통체증과 시내 주차 문제 심화
2030 타슈켄트 도로개발전략을 수립. 프랑스 개발청과 국제금융기관으로부터 투자금 2억 달러 조달받아 도로건설,
시설보수 등 진행할 계획. 타슈켄트 내 지하철 건설과 버스노선 효율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주거 및 생활
인프라
농촌지역 인프라 개선
- 농촌지역의 주택, 상하수도 시설 등의 생활 인프라가 매우 낙후
- 세계은행이 2019년 ‘번영하는 마일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농촌을 지원
농촌 지역의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고, 식수공급 문제 해결, 상하수도 정비, 도로재건 사업을 지원할 예정
2024년까지 시행될 예정
- 안디잔, 페르가나, 나망간, 지작, 시르다리아 지역 내 300개 마을 지원대상으로 선정
주택건설 및 인프라 정비
- 정부 주도로 13개 지역에 걸쳐 1.2만채의 주택을 건설하는 프로젝트 진행중
- 노후화된 수도관(277.4km), 전선(273.5km), 가스파이프(283.9km), 도로(244.4km) 정비될 예정
주택시장여건 타슈켄트 아파트시장
- 타지역 인구의 타슈켄트 이주를 불허하였으나, 2018년부터 타슈켄트에 신규주택을 구입할 경우 이주허가
→ 신규주택 수요 증가 예상
- 2014년 정점으로 가격 하락, 2018년 기준으로 다시 상승
- 도심부의 아파트 가격이 가장 비싸며, 도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가격이 낮음
- 타슈켄트 시내에 분양한 신규 아파트 분양가 375~4,500달러/㎡ 로 지역별로 큰 편차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