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소비트렌드 관련
용어정리
코로나19 발생 후 적응하지 못할 것 같던 변화들이 어느새 우리의 일상으로 자리잡았다.2022년은 그동안 단절되고 제한되었던 일상생활이 코로나 발생 이전으로 회복되고 새로운 소비트렌드가 등장하는 해가 될 것이다. 신한카드가 선정한 2022년 트렌드 키워드 ‘UNLOCK’을 6개의 세부 키워드 별로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에서 정리한다.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사원
-
Unbinding In-Door
- • ‘다시 문 밖 라이프’
-
- 오랜 집콕 생활로 집안에서 채울 수 없는 본질적인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됨
- 코로나 기간 홈트(홈트레이닝) 이용 결제가 증가했지만 코로나 종료기간이 다가올수록 홈트 관련 결제가 줄어들고 있음
- 공간과 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사람들은 역동적으로 즐기는 스포츠와 자연에 관심을 갖게 됨
- 캠핑, 차박 등 안전하게 자연을 즐길 수 있는 활동이 증가함
-
Neo-Family
- • ‘네오팸의 시대’
-
- 사회의 개인화와 파편화가 지속됨에 따라 가족의 의미가 강조되고 있음.
특히 반려 대상으로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가족이 형성됨 - 펫 헬스케어, 금융상품 등이 세분화되고 프리미엄화된 펫 비즈니스가 증가하고 있음
- 반려동물뿐 아니라 반려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플랜트숍과 홈가드닝 관련 제품 소비가 증가함
- 사회의 개인화와 파편화가 지속됨에 따라 가족의 의미가 강조되고 있음.
-
Local Economy
- • ‘로코노미의 부상’
-
- 동네 고유의 매력과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희소성 있는 상품과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며 로컬의 매력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음
- 개성있고 트렌디한 로컬브랜드 컨셉숍 이용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
-
Ordinary Premium
- • ‘일상으로 스며든 프리미엄’
-
- 명품이라는 단어가 고가 브랜드의 옷과 가방에 국한되지 않고 의미가 확장됨
- 기능과 가성비 위주로 구매하던 일상 생활용품에서도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 소위 생활명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 MZ세대를 중심으로 명품 카페, 요트투어 등 잠깐의 럭셔리함을 즐기는 활동 증가
-
Cracking Border
- • ‘사라진 경계, 보더리스’
-
- 성, 연령, 시간, 공간 등 전통적인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음.
소비영역에서 남성과 여성을 구분 짓는 경계가 허물어지고 메타버스의 등장으로 가상 인플루언서들의 활약이 확대됨. -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레깅스, 화장품 등 다양한 소비재에서 남성의 이용 비중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음
- 정해진 틀보다는 자신의 취향과 스타일을 우선으로 두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내는 모습이 앞으로의 시장 트렌드가 될 것으로 기대됨
- 성, 연령, 시간, 공간 등 전통적인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음.
-
Kick off Sustainability
- •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
- 환경, 사회, 미래를 생각하는 가치소비가 특별한 것이 아닌 보편적인 것으로 자리잡기 시작
-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제로웨이스트샵 이용이 증가, 플로깅이나 클린하이킹 등 일상을 즐기며 실천할 수 있는 친환경 챌린지에 대한 관심도 증가
-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업의 경우 소비자들은 불매운동 등으로 강경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