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보통사람들의
부동산 구매행태

신한은행에서 전국 만20~64세 경제활동자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조사기간 2019년 9월~10월)’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는 보통사람들의 소득 및 지출, 부채, 지출형태 등을 다루고 있다. 본지에서는 자가부동산 구매행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정리 김우영

2017년~2019년 구매 부동산 유형
경제활동 가구 1만명 중 11%는 2017년에서 2019년 사이에 현재 거주 중인 부동산을 구매했으며, 이들의 84.7%는 아파트를 구매했다.
아파트 84.7% 빌라 및 다세대주택 6.7% 단독주택 5.5% 오피스텔 1.9% 빌딩/상가 내 주택 1.3%
지역별 아파트 구매 당시 가격 대비 현재 상승률
지난 3년 내 거주목적을 위해 아파트를 장만한 경우, 평균적으로 구매 당시 대비 아파트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권역별로 보면 서울이 21%로 가장 큰 상승을 보였고, 비수도권 대비 수도권의 집값상승률이 더 높았다.
서울 21% 경기/인천 14% 지방 5대 광역시 12% 기타지방 7%
향후 3년 내 아파트 매매시 기대 상승률
최근 구매한 아파트가 있는 응답자들은 현재가치 대비 향후 3년 내에 20% 이상 더 상승한다면 아파트를 팔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지난 3년간 서울 아파트 구매자 이상의 투자수익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지방 서울 지방 5대 광역시 경기/인천 22% 25% 26% 26%
아파트 구매가에 따른 아파트값 상승률
지난 3년간 구매 아파트의 현재가치를 살펴보면 아파트 구매금액이 높을수록 구매 후 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억원대 이하의 아파트 구매자의 상승률은 전국의 아파트 구매자의 평균 상승률(14%)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구매가격 아파트 구매당시 대출원금 비중(%) 대출원금 대비 아파트가 상승률(%) 53% 53% 45% 41% 33% 21% 9% 13% 31% 42% 56% 84% 1억원대 이하 2억원대 3억원대 4억원대 5~6억원대 7억원 이상 아파트 구매가격 아파트 구매당시 대출원금 비중(%) 대출원금 대비 아파트가 상승률(%) 53% 53% 45% 41% 33% 21% 9% 13% 31% 42% 56% 84% 1억원대 이하 2억원대 3억원대 4억원대 5~6억원대 7억원 이상

서비스 영역